본문 바로가기
읍면안내

중사리

중사리

본래 연천현 북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중산리와 사동리를 병합하여 ‘중사리'라 하고 중면에 편입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 38선 북쪽의 공산 치하에 들어갔다가, 한국전쟁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의거하여 행정권이 수복되었다. 그렇지만 여전히 전 지역이 군사분계선과 인접한 완충 지대에 해당하여, 행정리와 반이 설치되지 않은 채 미입주지구로 남아있다.

지명유래

  • 가리골[加麗洞] : 독정동 북쪽에 있었던 마을. 전주 이씨가 처음 개척하였으나, 약 200년 전에 한양 조씨(漢陽趙氏)가 들어와 정착하였다. 한국전쟁 전에는 한양 조씨들이 20여 호 살았다고 한다.
  • 검은돌[黑石洞] : 대추골 서쪽에 있었던 마을. 검은 빛의 돌이 많은 곳이라서 붙은 이름이다. 한국전쟁 전에는 평산 신씨(平山申氏)가 다섯 가구 살았다고 한다.
  • 낭말[落村] : 푸묵골 북쪽에 있는 마을. 벼랑같이 높은 둔덕 위에 집들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전쟁 전에는 8가구가 살았다 한다.
  • 대추골 : 검은돌 동쪽에 있던 마을. 대추나무가 많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한국전쟁 전에는 원씨*이씨*윤씨가 30여 호 정도 있었다고 한다.
  • 독정동(讀亭洞) : 가리골 남쪽에 있었던 마을. 이 마을 선비들이 약 200년된 큰 오리나무 아래에서 글을 읽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한국전쟁 전에는 ‘양달말'*‘응달말'로 나뉘어 있었고, 25가구가 살았는데 이천 서씨(利川徐氏)가 많았다고 한다.
  • 등정골[屯田洞] : 검은돌 남쪽에 있었던 마을. 예전에 관에서 경작하던 둔전이 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전쟁 전에는 박씨 5가구가 살았다.
  • 모래울[沙洞] : 검은돌 북쪽에 있던 마을. 진명산에서 내려오는 하천에 모래가 많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는 유래를 달고 있으나, 이 곳은 모래가 그리 많지 않은 작은 개울이다. 산의 고어 ‘뫼'의 어원은 ‘높은'*‘위'를 뜻하는 ‘몰'인데, ‘몰'은 다른 낱말과 합칠 때 그 낱말과의 사이에 ‘아'*‘애' 등의 소유격 조사가 개입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몰'과 ‘울'이 합하여 ‘몰애울'이 되었다가 다시 음이 변하여 ‘모래울'이 되고, 발음 그대로 음차된 ‘사동'이라는 한자 지명으로 표기된 것이다. 원래는 ‘산골 마을'이라는 뜻이다.
  • 베틀거리 : 한세울*밤고개*중산리로 갈라지는 삼도품에 있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방씨가 경영하던 주막이 있었다고 한다.
  • 산골[山谷洞], 웃모래울 : 모래울 북쪽에 있었던 마을. 진명산의 깊은 산골짜기 안에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수오동(洙澳洞) : 시욱이나루 동쪽에 있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안동 권씨 12가구가 살았다고 한다.
  • 점말(店村) : 마당소 옆에 있던 마을. 예전에 옹기를 구워 팔던 가게가 있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중산리(中山里) : 낭말 동남쪽에 있었던 산골짜기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20여 호가 마을을 이루었고 전주 이씨가 많이 살았던 곳이다.
  • 지로동(芝露洞) : 수리봉 북쪽에 있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25가구가 있었고 안동 권씨가 많이 살던 곳이다.

지역명칭 설명

  • 가리골고개 : 모래울에서 가리골로 넘어다니던 고개.
  • 고라지밭골 : 천지봉 서쪽에 딸린 골짜기.
  • 골통대기 : 문양골 동쪽에 있던 밭. 골짜기 안에 쑥 들어가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32고랑에 700평 넓이였다 한다.
  • 국박골산 : 독쟁이 서쪽에 있는 높은 산. 높이 203m.
  • 그늘곁 : 고라지밭골 서쪽에 있는, 해가 일찍 지는 응달.
  • 금점굴(金店窟) : 시욱이나루 남쪽, 임진강옆에 있는 굴. 일제강점기 때 금을 캤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깊은막지골 : 독쟁이 동쪽에 있는 골짜기. 일제강점기 때 숯가마가 있던 곳이다.
  • 나가모이번댕이 : 지로동 서쪽에 있는 넓은 산비탈. 나씨의 묘가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낡은터① : 지로동 북쪽에 있던 밤나무밭. 옛날 집터가 있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낡은터② : 한드루 북쪽, 적음리와 경계 지점에 있던 밭. ‘고려장'이라는 원형의 작은 돌무덤이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 논네미 : 능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돌 틈에서 나오는 찬 약수가 있다 한다.
  • 높은막지골 : 깊은막지골 입구에 있는 골짜기.
  • 능골 : 여골 위에 있는 골짜기.
  • 대추골고개 : 가리골에서 대추골로 넘어다니던 고개.
  • 돼지배나무골 : 말미터 북쪽에 있는 골짜기.
  • 되박등고개 : 지로동에서 소둔지로 넘어가는 고개.
  • 두렁산, 수리봉 : 검은돌 북쪽에 있는 산. 높이 242m. 예전에 천지가 개벽하여 온 세상이 물바다가 되었을 때 이 산 정상이 논두렁만큼 남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높은 봉우리라는 뜻의 ‘수리봉'으로도 불리워지던 곳이다.
  • 둔지고개 : 시욱이와 소돈지 사이에 있는 고개.
  • 마당소 : 중산리 마을 입구에 있는 마당만한 소. 두 길 정도의 깊이라 전해 온다.
  • 마야터 : 가리골 입구에 있는 터.
  • 말미터 : 논네미 북쪽에 있는 골짜기.
  • 문앙골 : 중산리 안에 있는 좁은 골짜기. 예전에 어떤 부인이 남편의 장례를 치르고 이 골짜기 안에 있는 낭떠러지에서 떨어져 죽었다는 전설을 간직한 곳이다.
  • 물푸레나무떼기 : 지로동 서쪽, 물푸레나무가 많았던 곳.
  • 밤고개[栗峴] : 중사리와 삼곶리 사이에 있는 큰 고개. 예전에 부친상을 당한 어린 상제가 밤을 사 가지고 이 고개를 넘다가 외출할 때 쓰는 방갓이 바람에 날려 나뭇가지에 걸렸는데 방갓을 가지러 나무에 오르다 떨어져 죽었다고 한다. 그 뒤로 상제가 죽은 이 고개를 밤고개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고개는 중사리와 삼곶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주변의 다른 고개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산을 넘어가는 긴 거리를 가진 ‘산고개'이다. 이러한 이유로써 산의 고어 ‘받'의 음이 변하여 ‘밤'으로 굳어진 현상으로 본다면, ‘밤고개'는 ‘산을 넘는 고개'라는 원래 뜻이 변형되면서 상제의 슬픈 전설을 낳게 된 고개 이름으로 보인다. 받 + 고개 = 받고개 〉 밧고개 〉 반고개 〉 밤고개.
  • 배매기 : 돼지배나무골 꼭대기에 있는 큰 바위. 예전에 천지가 개벽하여 이 곳까지 조수가 들어왔는데, 당시 항해하던 배들이 이 산에 있는 바위에 줄을 묶어 정박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검은 자연석인 이 바위에는 그 당시 줄을 맨 큰 구멍이 있다고 한다.
  • 백고개 : 수오동과 소목골 사이에 있는 조그만 고개. 아주 옛날 임진강물이 크게 범람했을 때 이 곳에 배를 묶어 놓았다는 이야기 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그렇지만 본래는 ‘산고개'라는 뜻의 지명이다. 산의 고어 ‘받'이 ‘백'으로 음이 변하면서 ‘배[舟]'와 연관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 뱀밭 : 두렁산 서쪽 개울 옆에 있던, 뱀처럼 긴 밭.
  • 빙애고개[氷崖峴] : 중산리에서 횡산리의 빙애 마을로 넘어다니던 고개.
  • 산당(山堂) : 독정동 뒤에 산제를 모시던 당집. 10평 규모에 초가지붕을 얹은 형태였으며, 당집 주위에는 다섯 그루의 큰 소나무가 산당과 함께 보호를 받았고, 매년 늦은 가을 독정동 주민들이 산제를 올렸던 곳이다.
  • 샘골[泉谷] : 밤고개 서쪽에 있는 골짜기.
  • 서낭고개 : 대추골과 모래울 사이에 있는 큰 고개. 큰 서낭 나무들이 고갯마루에 있어, 매년 9월 9일이 되면 모래울 주민들이 산제를 올리던 곳이다.
  • 소둔지*소돈지[牛臀地] : 시욱이와 지로동 사이에 있는 골짜기. 이 곳의 지형이 소의 궁둥이 모양과 닮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고 한다. 한국전쟁 전에는 윤씨 두 가구가 있었다.
  • 소목골[牛項洞] : 수오동 동쪽에 있는 골짜기. 이 곳의 지형이 소의 목과 유사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백고개 북쪽에 있는 조그만 산은 소의 머리, 소둔지는 소의 궁둥이와 닮은 형상이라 하며, 전체적으로는 소가 먹이를 배불리 먹고 되새김질하는 형국이라는 풀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원래 소목골의 뜻은 이 골짜기와 지로동 사이의 목[項]인 연당고개에 유래가 담겨 있다. 즉, 연당고개의 입지 조건은 두 마을 사이를 연결하는 사이의 목인 ‘새목[間項]'으로 불리우던 것이 ‘새'가 ‘쇠'로 음이 변하면서, 이 고개 주변의 땅이름을 모두 소와 관련된 것처럼 풀이하게 하였다.
  • 수리봉 : 중사리와 횡산리 경계에 있는 봉우리.
  • 숯굽골 : 말미터 서쪽에 있는 골짜기 . 예전에 숯을 굽던 곳이라 한다.
  • 시동골 : 점말 옆에 있는 골짜기.
  • 시욱이나루[時郁津] : 중사리 수오동과 옛 서남면 지역의 시욱이장거리 사이에 있던 임진강 나루터. 일제강점기 때까지도 서해안에서 올라온 새우젓*소금배가 이 곳에 정박하여 곡물*땔감 등과 물물교환을 했던 곳이기도 하다. 한국전쟁 전에는 이 나루터에 큰 오리나무 한그루와 주막이 있었다 한다.
  • 양지밭 : 낡은터 서쪽, 양지바른 곳에 있던 좋은 밭. 1,700평 넓이였다고 한다.
  • 엄박골 : 모래울 서쪽에 있는 골짜기.
  • 여골 : 가리골에서 천지봉쪽으로 있는 골짜기.
  • 연당고개 : 지로동과 소목골 사이에 있는 고개.
  • 요골 : 모래울 북쪽에 있는 골짜기.
  • 윗방골, 윗밤골 : 지로동 동쪽에 있는 골짜기. 산의 뜻으로 쓰였던 고어 ‘받'과 ‘골[村]'이 합하여 산골짜기라는 뜻의 ‘받골'로 불리워지던 것이 아래와 같이 음이 변하여 ‘밤골'이 되었다. 받골 〉 밧골 〉 반골 〉 밤골(방골).
  • 윗소목골 : 소목골 안에 있는 골짜기.
  • 작은샘골 : 시동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샘골에 상대되는 이름이다.
  • 장고개[長峴] : 지로동에서 횡산리의 방뫼로 넘어다니던 고개.
  • 절골 : 가리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예전에 절이 있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며, 지형이 병과 같이 생겼다 하여 ‘병목안'으로도 불리웠는데, 그 중앙에 절터가 위치한다. 한국전쟁 전에는 약 2,000평 넓이가 밭으로 경작되었고, 주초석과 와편을 쉽게 볼 수 있었다고 한다.
  • 정골고개 : 모래울에서 적음리의 정골로 넘어다니던 고개.
  • 지르미고개, 장구목고개 : 지로동에서 횡산리의 동막골로 넘어다니던 고개.
  • 진명산(振鳴山) : 가리골 북쪽에 있는 산. 중사리*적거리*도연리*적음리가 이 산을 중심으로 경계를 이룬다.
  • 징싱골 : 윗방골 북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
  • 천지봉[天祭峰] : 가리골 남쪽에 있는 봉우리. 높이 216m. 한국전쟁 전에는 큰 소나무 한 그루가 정상에 있었다고 한다.
  • 푸묵골 : 소목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 한달골 : 진명산 아래에 있는 골짜기. 크다는 뜻의 ‘한'과 산의 고어 ‘달'에 ‘골'이 합하여 큰 산, 즉 진명산에 딸린 골짜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땅이름이다.
  • 한드루 : 등정골 서쪽, 임진강변에 있는 넓은 들.
  • 한드루비냥 : 시욱이나루 북쪽, 한드루로 가는 곳에 있는 임진강 옆의 천연절벽.
  • 한세울 : 베틀거리에서 적거리로 넘어가는 곳에 있는 큰 골짜기. 중사리와 적거리 사이에 있는 ‘큰(한) 사이(세)의 골짜기'라는 뜻을 가진 곳이다.
  • 할미바위 : 돼지배나무골 서쪽에 있는 큰 바위. 예전에 어떤 할머니가 쌓았다고 하는데 세월이 흐를수록 조금씩 자란다고 하는데, 지금은 초가 삼간만한 크기이다.
  • 함박골 : 문앙골 동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 함박꽃이 많이 피는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 화중터 : 소둔지 서남쪽, 야산에 있는 밭. 옛날에 이 곳에서 화장을 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