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읍면안내

북삼리

북삼리

본래 마전군 북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외곡리*징파리*애동리 등 북쪽 3개 리를 병합했다 하여 북삼리라 이름지어 왕징면에 편입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 38선 이북이 되어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한국전쟁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의거, 행정권이 수복되었으나 민통선 지역에 놓여 있어 일부 지역에만 민간인이 입주해 있다. 현재 1개의 행정리, 8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명유래

  • 검은동굴 : 방축골 북쪽에 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청주 한씨(淸州韓氏)가 집성촌을 이루며 살던 곳이였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 둔밭[屯田] : 징파도 부근에 있는 마을. 둔전이 있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한국전쟁 전에는 죽산박씨(竹山朴氏)가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다.
  • 박대울[朴垈洞] : 둔밭 서쪽에 있는 골짜기 마을. 죽산 박씨가 많이 산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쑥골[艾洞] : 살포장 북쪽에 있던 마을. 예전에 쑥이 무성히 자라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 안골 : 쑥골 동쪽, 골짜기 안에 있던 마을.
  • 안터[內垈] : 쇠고개 아래, 골짜기 안에 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청도 김씨(淸道金氏)가 많이 살던 곳이다.

지역명칭 설명

  • 가루니 : 방축골 북쪽, 홍산이고개 쪽으로 있는 골짜기.
  • 가마봉[釜峰] : 북삼리, 노동리, 동중리 경계에 있는 봉우리.
  • 고성산(高城山) : 넘바위고개 동쪽, 무등리와 경계에 있는 산.
  • 넘바위고개[廣岩峴] : 방축골에서 무등리 넘바위 마을로 넘어다니던 고개.
  • 능골[陵谷] : 가마봉 북쪽에 있는 골짜기. 예전에 능이 있었다 한다.
  • 달비듬지산 : 징파도 북쪽에 있는 언덕. 예전에 달맞이를 했던 곳이라 한다.
  • 대정에밭 : 쇠고개 아래에 있는 밭.
  • 둔밭고개[屯田峴] : 이씨터에서 강내리 진겨울로 넘어다니던 고개.
  • 매봉 : 외울 남쪽, 강내리와 경계에 있는 봉우리. 높이 124m. 매의 형상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옛날에 이 봉우리 정상에서 봉화를 올렸다고 한다.
  • 방아다리 : 안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예전에 방앗간이 있던 곳이라 한다.
  • 방축골 : 고성산 서쪽에 있는 골짜기. 예전에 방죽이 있었다 한다.
  • 벙바위[巖] : 징파나루 남쪽, 임진강 옆에 있는 큰 바위. 예전에 부엉이가 많이 서식했다 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고양이 모습을 하고 있다 하여 ‘괭이바위'로도 불려진다.
  • 살포장 : 쑥골 남쪽, 노동리와 경계에 있는 산.
  • 선챙이[船艙] : 쑥골과 검은동굴 마을에서 이용했던 임진강 포구. 1925년 대홍수 때 임진강이 크게 범람하여 폐허가 되어버렸다 한다.
  • 솔정자고개 : 북삼리에서 동중리로 넘어다니던 고개.
  • 쇠고개[牛峴] : 안터에서 강내리로 넘어가는 고개. 옛날 이 마을에 장성한 딸과 함께 살던 홀아비가 있었다고 한다. 어느 날 갑자기 실성하여 딸에게 아내가 되어 달라고 하자, 딸이 아버지에게 머리를 풀고 소처럼 이 고개를 내려오면 청을 들어주겠다고 했다. 아버지가 즉시 이 고개로 올라와 그대로 소의 흉내를 내며 내려와 보니 딸은 자결한 뒤였다. 그후 이 고개가 쇠고개라 불리우게 되었다 한다
  • 시내기자리 : 외울 중앙에 있는 논. 옛날에 ‘시내기'라는 아가씨가 샀다고 한다.
  • 외울[外谷] : 둔밭마을 북쪽, 이씨터와 안터 골짜기의 전체 이름. 북면 지역에서 가장 바깥 쪽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용못 : 시내기자리 아래에 있는 깊은 못. 이 곳에서 용이 등천했는 전설이 전한다.
  • 원고개 : 둔밭에서 외울로 넘어가는 고개.
  • 징파나루[澄波渡, 屯田渡] : 북삼리와 삼거리를 이어주는 임진강의 큰 나루터. 북삼교를 가설한 이후부터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정약용의 『대동수경』에 의하면, 이 곳의 강물은 강 바닥의 자갈이 훤히 비칠 정도로 빛깔이 맑다 하여 징파강이라 이름지었다 한다.
  • 쪽박골고개 : 외울에서 강내리 쪽박골로 넘어다니던 고개.
  • 홍산이고개 : 북삼리에서 강내리로 넘어가는 고개. 324번 지방도가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