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읍면안내

내산리

내산리

본래 철원도호부의 외서면 지역으로, 험준한 보개산의 안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내산리라 하였으나, 1895년(고종 32) 외서면이 신서면으로 개칭되면서 신서면으로 편입되었다. 1945년 해방과 동시에 38선 북쪽에 위치하여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한국전쟁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의거, 행정권이 수복되고 민간인 입주가 허용되었다.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8호인 「수복지구와 동인접지역의 행정구역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의하여 철원군에서 연천군에 편입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1개 행정리, 3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명유래

  • 도리들[桃李坪, 桃李洞] : 불견산 동쪽에 있는 마을. 고대산에서 발원하여 이 마을 앞을 지나 내산리 중앙을 관통하는 아미천이 마을을 크게 돌아서 흐른다는 점에서 마을 명칭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즉 돈다는 뜻의 ‘돌'이 음이 변한 ‘도리'와 이 곳의 넓은 ‘들'이 합쳐져 ‘도리들'이 된 것으로, 한자도 이 발음을 그대로 따온 것이다.
  • 목목골[墨墨洞] : 큰고개 동쪽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 예전에 어떤 사람이 이 곳의 조상 묘를 찾을 적에 관 안에서 흰 새가 ‘목목 목목'하며 날아갔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한국전쟁 전에는 이씨와 윤씨들이 7가구 살았던 곳이다.
  • 신(진)틀거리[陣機洞] : 현재 내산리의 가장 위에 있는 마을. 예전에 군사들이 진을 쳤던 곳이라 한다.
  • 윗신틀거리 : 신틀거리 북쪽에 있던 마을.
  • 대소라치[大松亭] : 윗신틀거리 북쪽에 있던 마을. 한국전쟁 전까지도 집성촌을 이루었던 배천 조씨(白川趙氏)들이 산제사를 모시던 큰 소나무 고목이 있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마을 북쪽에 있는 대소라치고개에서 그대로 음을 따와 불리워지는 이름이라고도 한다.
  • 삼각동(三角洞) : 신틀거리 동쪽에 있는 마을. 지형이 삼각형 모양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한국전쟁 전에는 한양 조씨(漢陽趙氏)들이 살았다고 한다.
  • 초막(草幕) : 심원사 부도장 건너에 있었던 마을 이름. 한국전쟁 전에는 몇 채의 초가가 있던 곳이다.

지역명칭 설명

  • 고대산(高臺山) : 내산리와 대광리, 철원군 철원읍 율리리와 경계에 있는 높은 산.
  • 과우(過隅) : 도리들과 신틀거리 사이에 있는 큰 산모퉁이. 이 곳을 지나려면 크게 굽어서 돌아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다라미고개[多羅美峴] : 절골에서 연천읍 부곡리의 가마골로 넘어가는 고개.
  • 대광산(大光山) : 목목골 북쪽, 도신리*대광리와 경계가 되는 산.
  • 대소라치고개 : 울음성에서 대광리의 윗대광골로 넘어다니는 고개. 대송정 마을에 있던 큰 소나무로 인하여 ‘대(大)'+‘솔[松]'+‘치(峙)'라는 합성 지명으로 이루어졌으나 앞 음절과의 연결 과정에서 매개모음 ‘아'가 동반되어 ‘ㄹ'이 뒤로 옮겨오면서 ‘대솔아치'가 ‘대소라치'로 변한 이름이다.
  • 동마네미고개[東馬踰峴] : 절골에서 포천군 관인면 중리의 큰골로 넘어가는 고개. ‘동쪽에 있는 높은 산마루를 넘는 고개'라는 뜻을 가진 곳이다.
  • 뒷고개 : 신틀거리에서 목목골로 넘어가는 고개. 신틀거리 마을의 뒤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들음바위[擧岩] : 윗신틀거리 동쪽에 있는 골짜기. 번쩍 들려있는 모양인 큰 바위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 옆에는 맑은 계곡물이 약 15m 높이의 자연 암반 사이를 직류하며 떨어지는 폭포가 있어 운치를 더해 주는 경승지이다.
  • 막터골[幕垈谷] : 대소라치 동쪽에 있는 골짜기.
  • 법화골[法華洞] : 절골 서쪽, 불견산에 딸려 있는 골짜기. 신라 때 창건된 법화사가 있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복희골 : 윗신틀거리 서쪽에 있는 골짜기. 산의 뜻으로 쓰였던 고어 ‘'이 ‘' > 복'으로 음전되어 ‘골[谷]'과 합하는 과정에 중간 매개모음 ‘이'가 ‘희'로 변하여 ‘산골짜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 북마네미고개[北馬踰峴] : 삼각동에서 포천군 관인면 삼율리의 담터로 넘어가는 큰 고개. 옛날에 이 고개로 말이 넘어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러나 ‘마'는 ‘으뜸'*‘높음'의 뜻으로 쓰였던 고어의 ‘'의 음운 변천으로 ‘말'이 되어, ‘넘는다'는 뜻의 ‘네미'와 합쳐져 ‘북쪽에 있는 높은 산마루를 넘는다'는 뜻의 ‘북말네미 > 북마네미'가 된 것이다.
  • 불견산(佛見山) : 내산리와 도신리 경계에 있는 높은 산.
  • 불견이고개[佛見嶺, 佛峴] : 법화골에서 도신리의 사기막골로 넘어가는 고개.
  • 산지배소 : 신틀거리 마을, 수덕원 앞에 있는 소. 지금은 매몰되어 옛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 석봉(石峰) : 윗신틀거리 북쪽, 대광리와 경계에 있는 봉우리. 높이 544m.
  • 울음성 : 내산리 가장 북쪽, 고대산 아래에 있는 골짜기. 유래는 자세하지 않다.
  • 은삼각골 : 삼각동 남쪽, 환희봉 쪽으로 난 골짜기. 삼각동에서 안쪽에 위치한 까닭에 ‘안삼각골'로 불리던 것이, ‘안'이 ‘은'으로 음이 변한 것으로 보인다.
  • 작은막터골 : 막터골 아래에 있는 작은 골짜기.
  • 작은목목골 : 도리들 북쪽에 있는 골짜기. 목목골과 상대되는 이름이며 도신리의 독개미골과 통한다.
  • 장승내[長丞川] : 석대암에서 발원하여 아미천으로 합쳐지는 개울. 예전에 심원사로 들어가는 입구인 이 개울 옆에 장승이 서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절골[寺谷] : 법화골 동쪽에 있는 큰 골짜기. 보개산에서 가장 큰 가람이었던 심원사 외에도 많은 절들이 있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큰고개, 목목이고개 : 목목골에서 도신리의 광대울로 넘어가는 고개.
  • 통생이고개 : 막터골에서 포천군 삼율리에 있는 담터의 싸리박골로 넘어다니던 고개. ‘사이로 통하는'의 뜻인 ‘통새'가 음이 변하여 ‘통생이'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 화장골[火葬谷] : 부도장 북쪽에 있는 골짜기. 예전에 절골에서 수도하던 승려들이 입적하면 불교 장례법인 다비식을 했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환희봉(歡喜峰), 지장봉(地藏峰), 석대봉(石臺峰) : 신서면 내산리와 포천군 관인면 중리의 경계에 있는 연천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높이 877.2m. 현재 ‘지장봉'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 회골[檜谷] : 삼각동 북쪽에 있는 골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