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읍면안내

백석리

백석리

본래 마전군 동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백촌리(栢村里)*분석리(盆石里)*가정리(柯亭里)를 병합하고 백석리라 하여 미산면에 편입되었다. 1945년 해방과 동시에 38선 북쪽에 위치하여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의거, 행정권이 수복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1개 행정리, 4개 반으로 편성되어 있다.

지명유래

  • 가정골[柯亭洞] : 독쟁이 북쪽에 있었던 마을. 백석리의 마을 가운데서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가쟁이' 또는 ‘가정골'로 불리우던 곳이다. 이것을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음을 그대로 음차하여 ‘가정동(柯亭洞)'으로 쓰여지게 되었다.
  • 새터[新村] : 군량논 동남쪽에 있던 마을.
  • 오리동(五里洞) : 소라터 남쪽에 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함열 남궁씨(咸悅南宮氏)들이 살았던 마을이다.
  • 월촌 : 잣나무골 입구에 있던 마을.

지역명칭 설명

  • 거친봉 : 백석리·마전리;아미리 경계에 있는 봉우리.
  • 군량논[軍糧畓] : 잣나무골 중앙에 있는 열두 마지기 논. 장군대좌형에 딸린 지명이다.
  • 금바위[錦岩洞] : 도장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비단처럼 빛이 나는 바위가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한국전쟁 전에는 경주 이씨(慶州李氏)들이 마을을 이루었던 곳이다.
  • 능골 : 참나무쟁이 옆에 있는 작은 골짜기. 골짜기 안에 큰 묘가 있었다 하여 능골로 불리워졌다고 한다.
  • 능모퉁이 : 능골에서 유촌리 두개모듬으로 가는 곳에 있는 산 모퉁이.
  • 대곡동(大谷洞) : 서산군 묘 동쪽에 있는 큰 골짜기. 한국전쟁 전에는 평안감사 이윤인의 후손인 경주 이씨들이 집성촌을 이루었던 곳이다.
  • 도독골[都督谷] : 소라터 옆에 있는 골짜기. 이 곳의 지형이 장군이 말을 타고 달리는 형세인 장군대좌형(將軍大坐形)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주위에 마타리*중군노리*소죽골*군량논 등 명당에 부합되는 지명이 있고, 그 명혈에는 정발 장군의 묘가 위치한다.
  • 도장골[陶壯谷] : 요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산 안의 골짜기라는 뜻의 ‘돋안골'이 변한 이름이다.
  • 독벼루개울 : 백석리 독쟁이에서 발원하여 유촌리의 두개모듬으로 흐르는 개울.
  • 독쟁이[獨亭洞] : 가정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광동리의 너븐골로 넘어가는 광동고개에 돌이 많아 돌의 옛말인 ‘독'과 고개의 다른 말인 ‘재'가 합쳐지면서 ‘독재'로 불리워지던 것이 ‘독쟁이'로 음이 변한 것이다. 그런데 한자로 지명을 적는 과정에서 ‘독정동(獨亭洞)'으로 변하였다. 한국전쟁 전에는 경주 정씨(慶州鄭氏)들이 집성촌을 이루었던 곳이다.
  • 두리산[圓山, 分石山] : 안골 북쪽에 있는 산. 높이 148m. 백석리·유촌리, 왕징면 노동리·동중리와 경계가 된다. 미산면이 마전군에 속해 있었을 때 이 봉우리 정상에 올라서면 마전군 전 지역이 두루 보인다 하여 ‘두리산'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옛 지리지에는 ‘분석산(分石山, 盆石山)'으로도 기재되어 있다.
  • 마타리, 메타리 : 대곡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 이 곳의 지형이 도독골 장군대좌형 가운데 장군이 말을 타고 달리는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 백토골[白土谷] : 뱀골 옆에 있는 골짜기. 백토가 난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뱀골[蛇洞] : 잣나무골 안에 있는 큰 골짜기. 지형이 뱀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나, 실제 이 골짜기의 모양을 뱀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어근을 분석해 보면 앞음절 ‘뱀'이 발음 그대로 해석되면서 원 뜻인 ‘산골짜기'와 전혀 다른 땅이름이 되어 버린 예이다. 우리 땅이름 가운데 산을 뜻하는 고어로 ‘받'이 있는데, ‘받'은 ‘백'으로 쉽게 변할 수 있고 ‘백'은 다시 아래와 같은 변화를 거쳐 ‘뱀'으로 음이 변해, 뱀과 닮은 지형이라는 풀이를 낳게 된 것이다. 받[山] + 골[谷] = 받골 〉 백골 〉 뱀골[蛇洞]
  • 봉화재[烽火峰] : 백석리와 광동리 경계에 있는 봉우리. 높이 179m.
  • 분석골[盆石谷] : 서산군 묘 북쪽에 있는 골짜기. 중군고개 옆에 안장과 같이 생긴 분석이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 삼백냥짜리논 : 뱀골 앞에 있는 논. 옛날에 어떤 사람이 삼백 냥을 주고 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소라터 : 잣나무골 입구에 있는 터. 모양이 소라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전해 오고 있으나, 실제로는 ‘작다'*‘좁다'의 뜻인 ‘솔'이 ‘터'와 합쳐지면서 ‘작은 터'라는 의미의 ‘솔터'가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아래와 같이 음이 변하면서 소라에 연관시켜 풀이되고 있다. 솔터 〉 솔터 〉 소터 〉 소라터.
  • 소죽골 : 서산군 묘 남쪽에 있는 골짜기. 이 곳의 지형이 말이나 소의 먹이통인 구유와 닮은 형태라 하여 붙은 이름으로, ‘말죽골'이라고도 한다.
  • 솔터고개 : 유촌리의 다락말 사이에 있는 고개.
  • 안골[內洞] : 두리산 남쪽에 딸려 있는 골짜기. 분석골과 대곡동의 안쪽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요골 : 마타리 옆에 있는 작은 골짜기.
  • 잣나무골[栢村洞] : 하오고개 북쪽에 있는 골짜기. 예전에 잣나무가 많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한국전쟁 전에는 정발 장군의 후손인 경주 정씨들이 마을을 이루었던 곳이다.
  • 중군고개[中軍峴] : 분석골에서 왕징면 동중리로 넘어가는 고개.
  • 중군노리(中軍老吏) : 소라터 서쪽에 있는 산. 도독골 장군대좌형 중앙에 있는 군대의 진영에 해당하는 지형이라 한다. *참나무쟁이[眞木亭] : 금바위 앞에 있는 산부리. 옛날 이 곳에 큰 참나무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치라재 : 분석골에서 왕징면 동중리의 피아골로 넘어다니는 고개.
  • 하오고개[和友峴] : 백석리 남쪽, 마전리와 경계에 있는 고개. 현재 322번 지방도가 이 곳을 지나간다. 예전에 이 고개에 산짐승과 도둑이 많아 여러 명이 함께 넘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 한내 : 하오고개에서 발원하여 잣나무골의 중앙을 흐르면서 독벼루개울로 합쳐지는 작은 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