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읍면안내

노동리

노동리

본래 마전군 북면의 지역으로, 목은 이색(李穡)의 5세손 이명흔(李命垠)이 지금의 노동리에 정착하고 보니 갈대가 우거져 있어‘갈울[蘆洞]'이라 이름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연천군 왕징면으로 편입되었다가, 1945년 해방 이후 38선 이북이 되어 공산 치하에 놓이게 되었으며, 한국전쟁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공포에 의하여 행정권이 수복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1개의 행정리, 3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명유래

  • 나복골*나부골[螺伏洞] : 승지골 아래에 있는 마을. 지형이 우렁이가 엎드려 있는 형상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한국전쟁 후 노동리가 수복되면서 갈울에 살았던 한산 이씨들이 이 곳에 새로 입주하여 노동리에서 가장 큰 마을을 이룬다.
  • 내로동(內蘆洞), 안갈울 : 갈울 안에 있던 큰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한산 이씨가 50호 가량 살던 곳이다.
  • 벌말[坪村 : 나복골 서쪽, 벌판에 있던 마을.
  • 작은장재울 : 우렁산 남쪽에 있던 마을. 잔[小] + 자[山] + 울[谷, 洞] = 잔자울 > 잔재울 > 장재울[長在洞]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장재울은 가늘고 작다는 뜻의‘잘다'가 관형형으로 굳은 말인 ‘잔'에 산의 고어‘자'가 합쳐진 이름이다. 즉, 본래 장재울은 우렁산 자락이 둘러 감싸고 있는‘작은 산의 마을'이라는 뜻으로 현 한자명인 장재(長在)는 원래의 뜻과 무관하게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 장구말 : 갈울 안에 있던 마을. 지형이 장구와 같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큰장재울 : 작은장재울 위에 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공주 이씨 13가구가 살았던 곳이다.

지역명칭 설명

  • 가마봉[釜峰] : 옥골 뒤에 있는 봉우리. 높이 184m. 가마와 같은 형상 때문에 지어진 이름으로, 노동리*북삼리*동중리의 경계가 된다.
  • 갈울[蘆洞] : 나복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노동리의 유래가 되는 곳이다.
  • 개룽지개울 : 개룽지에서 미산면 유촌리로 내려가는 개울.
  • 개룽지 : 장숭모탱이 북쪽에 있는 들판.
  • 광대터 : 장숭모탱이 서쪽에 있는, 예전에 광대가 살았다는 터.
  • 너리절, 절터골 : 가마봉 밑에 있는 골짜기. 예전에 광음사라는 절이 있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이 절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현재 밭으로 경작되는 절터에는 우물이 남아 있다.
  • 능안[陵內] : 청주목사 이명은의 묘와 한산 이씨 선대묘가 있는 골짜기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도란(랍)논 : 장학골 앞에 있는 논. 모양이 동그랗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두리산[分石山] : 노동리와 동중리, 미산면 유촌리*백석리 경계에 있는 산. 높이 184m.
  • 뒷골 : 웃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 붓논 : 벌말 옆에 있는 개룽지개울의 봇물로 관개하는 논.
  • 살포장 : 장구말 뒤에 있는 산. 능선 위로 솟은 두 개의 봉우리가 솔포를 친 것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또한 예전에는 이 곳에 봉수대가 있어 북쪽의 고왕산, 남쪽의 금굴산 봉수대와 연결되었다고 한다.
  • 상아밭 : 웃골 아래에 있는 밭.
  • 새능개울 : 갈울에서 개룽지개울로 합쳐지는 실개천.
  • 새울[間谷] : 능안과 원수골 사이에 있다 하여 지어진 골짜기 이름이다.
  • 승지골 : 갈울 동쪽에 있는 골짜기.
  • 옥골 : 새울 북쪽에 있는 골짜기. 노동리에서 가장 위에 있다 하여 ‘웃골'로 불리웠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옥골'로 어휘가 변하였다고 한다. 한국전쟁 전에는 예안 이씨 5가구가 살았던 곳이다.
  • 우렁산 : 재팟골 동쪽, 무등리와 경계에 있는 산. 높이 134m. 산의 형상이 우렁이와 같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서쪽에 있는 두리산 황새봉이 먹이 형국인 이 우렁산을 늘 쪼아 먹으려는 형세이나, 개룽지개울이 가로막고 있어 먹지 못한다고 한다. 한국전쟁 전에는 매년 음력 9월이면 정상에 있던 산제당에서 산제를 올렸다고 한다.
  • 웃골 : 상아밭 서쪽, 두리산에 딸린 골짜기.
  • 원수골 : 두리산 북쪽에 딸린 골짜기. 예전에 전쟁이 일어났을 때 이 곳으로 피난했다고 한다.
  • 자개논 : 나복골 앞에 있는 논. 자갈이 많다 하여 ‘자갈논'이라 했던 것이 자개논으로 어휘가 변하였다 한다.
  • 장승모탱이 : 재팟골과 장재울 사이에 있는 모퉁이. 예전에 장승이 서 있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장학골 : 내로동 동쪽에 있는 골짜기.
  • 재팟골 : 나복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 차돌백이고개 : 장학골에서 무등리로 넘어가는 고개.
  • 태봉(胎峰) : 광대터 서쪽, 골짜기 안에 있는 작은 봉우리. 예전에 왕실의 태를 봉했다 하나 현재 아무런 흔적도 남아 있지 않다.
  • 평나무밭 : 학수우물 위에 있는 밭. 큰 팽나무가 있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학수우물 : 갈울 안에 있는 우물. ‘학수'라는 사람이 팠다고 하여 유래되었다.
  • 황새봉고개 : 능안에서 뒷골로 넘어가는 고개. 지형이 황새처럼 생겼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