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읍면안내

답곡리

답곡리

본래 철원도호부의 외서면 지역인데, 1895년(고종 32) 외서면이 신서면으로 개칭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기존의 고라동리*중사리*공장동리*성평리의 일부를 병합하고 논골에서 이름을 따와 ‘답곡리'라 하였다. 1945년 해방과 동시에 38선 북쪽에 위치하여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한국전쟁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의거, 행정권이 수복되었으며,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 동인접지구의 행정구역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의해 철원군에서 연천군으로 편입되었다. 현재 휴전선과 인접한 민통선 지역이 되어 출입 영농만 가능한 법정리이다.

지명유래

  • 구시울[九水洞], 옥동(玉洞) : 대광중학교 부근에 있는 마을. 옛 『철원읍지』에는 이 곳의 빼어난 경치 때문인지 신선이 사는 별천지에 비유하여 '옥동(玉洞)'이라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당시 이 곳에 집성촌을 이루었던 우봉 김씨 문중에 김학도(金學道)라는 선비가 마을 이름을 자신의 호인 '구계(九溪)'로 고쳐 부르다가 어감이 좋지 않아 구수동으로 고친 사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또한 '구수'는 고대산에서 독개미골까지 이르는 동안 아홉 개의 큰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계곡물을 가리킨다고 한다.
  • 금곡리(金谷里) : 당골과 텃골 앞에 있던 큰 마을. '사이'의 뜻으로 쓰이는 '새'가 지방에 따라 '쇠'로 발음되는 현상에 의해 도랑리와 고래골 '사이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의 '쇠골'로 불리다가, 한자로 이름을 옮기면서 '쇳골[金谷]'이 된 것이다.
  • 아랫논골[下畓洞] : 윗논골 아래에 있던 마을.
  • 윗공장골[上公將洞] : 아랫공장골 북쪽에 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김해 김씨(金海金氏)가 12호 살았다고 한다.
  • 윗논골[上畓谷, 畓洞] : 잣나무골 남쪽에 있던 마을. 『순천이씨세보』에 의하면, 조선 초 연천읍 현가리 도당골에 은거했던 이양소의 손자 이눌(李訥)이 부친 이극문(李克文)이 세상을 뜨자 이 곳에 모시고 묘 아래에 살면서 근처의 황무지를 개간하여 경작했다고 한다. 그후 마을 사람들이 이눌의 고사에 의해 이 곳을 '노은동(老隱洞)' 또는 '논골[畓洞]'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한국전쟁 전에는 윗논골·아랫논골·건너말에 이안눌의 후손인 순천 이씨(順天李氏) 40여 호가 집성촌을 이루었다.
  • 잿말·잿드루·성드루[城坪里] : 아랫논골 북쪽에 있던 마을. 사방이 산으로 둘러쌓여 있는 산골이므로 '산' 또는 '성'의 고어 '잿'에서 뜻을 따와 '잿말'이라 했던 것이, 한자로 지명을 옮기면서 '잿'이 '성'으로 풀이되었다. 잿말은 '산골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아직 이 곳에서 성터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이 마을 앞에 펼쳐진 비교적 넓은 들의 이름도 잿말에 연유하여 '잿드루'로 불려지고 있다.

지역명칭 설명

  • 감동골[甘洞谷] : 텃골 동쪽에 있는 조그만 골짜기.
  • 고래골고개 : 부령골에서 고래골로 넘어다니던 고개.
  • 곰기[熊起] : 잿말 동쪽에 있는 골짜기. 대광리의 곰기들과 연결되는 골짜기여서 지어진 이름이다.
  • 국사봉(國師峰) : 윗공장골 서북쪽, 마전리와 경계가 되는 곳에 있는 뾰족한 봉우리. 높이 338m. 정상에는 약 50여 평 넓이의 평지를 이루고 있는데 예전에 절이 있던 곳이라 전해지며, 한국전쟁 전에는 봉우리 정상에 파손된 불두*와편*석재들이 흩어져 있었다고 한다.
  • 금바위등 : 불당골 북쪽에 있는 바위가 많은 산등. 높이 265m. 정상부에 호랑이가 새끼를 치던 ‘범의굴'이 있다고 한다.
  • 달고개[月峴] : 대광리의 음송골로 넘어다니는 고개.
  • 달봉 : 윗논골과 잿말 사이에 있는 봉우리. 예전에 달맞이를 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와는 달리 ‘산'의 뜻으로 쓰여지던 고어 ‘달'이 ‘봉(峰)'과 합하여 한자식의 ‘달[月]'로 풀이된 것이라고도 한다.
  • 당골[堂谷] : 텃골 아래에 있는 조그만 골짜기. 예전에 불당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로 한국전쟁 전까지도 완형의 석불좌상이 절터에 있었다고 하나 확인되지 않는다.
  • 도장골[倒葬谷] : 막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예전에 어떤 사람이 할아버지 묘 위에 자식의 묘를 썼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 뒷골 : 금바위등 아래에 있는 골짜기. 잿말의 뒤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만장골 : 푸려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 뭐래기 : 새고개 아래에 있는 골짜기.
  • 배나무골 : 막골 아래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큰 배나무가 있었다고 한다.
  • 분토골 : 배나무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산'을 의미하는 고어 ‘'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지명이다. ‘'의 모음이 변한 ‘붉'에서 ㄱ 또는 ㄹ이 떨어져 나가 산을 뜻하는 수많은 파생 지명을 낳는데, 이곳 분토골 역시 ‘'에 어근을 두고 산을 뜻했던 고어 ‘붇'이 ‘붓'으로 바뀌면서 ‘터'와 ‘골'이 합하여져 ‘산 안쪽에 자리한 터(마을)가 있는 골짜기'라는 뜻의 ‘붓터골'이 되었으나, 다시 음이 변하여 지금은 ‘분토골'이 된 것으로 보인다.
  • 불당골[佛堂谷] : 잣나무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예전에 절이 있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지만, 절 이름 및 연혁은 자세하지 않다.
  • 새고개[間峴], 윗고개 : 윗논골에서 윗공장골로 넘어가는 두 마을 사이에 있는 고개.
  • 시구터[三丘垈] : 김우서 묘 동쪽에 있는 골짜기.
  • 얼음냉수[氷水山] : 곰기 남쪽에 있는 좁은 골짜기. 한여름 삼복 더위에도 이가 시리고 발이 얼 정도로 찬 샘물이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원쉰모루 : 김우서 묘 아래에 있는 모퉁이. 예전에 어떤 고을 원님이 가던 길을 멈추고 이 곳에서 쉬고 갔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한국전쟁 전에는 물레방아가 있었다.
  • 음골 : 금바위등 북쪽에 딸려 있는 골짜기. 햇빛이 안드는 음지가 되어 지어진 이름으로 보인다.
  • 의신골 : 푸려골 동쪽에 있는 좁고 긴 골짜기.
  • 잣나무골 : 윗논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잣나무가 많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중절이고개[中寺峴] : 푸려골에서 중절이로 넘어다니던 고개.
  • 지석묘자리 : 아랫논골 동쪽, 하천 옆에 있던 북방식 지석묘가 있던 터. 일제강점기에 큰 장마가 이 곳을 휩쓸고 지나가면서 아깝게 유실되어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 텃골[垈谷] : 배나무골 아래에 있는 골짜기. 옛날 집터가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푸려골 : 의신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