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읍면안내

백의리

백의리

본래 양주군 청송면 지역으로, 개미 모양의 산이 있으므로 '개미허리'라 하여 '의요리'라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 개정에 의하여 포천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의요리와 능안의 옛 이름인 백호리에서 각각 한 자씩 따서 '백의리'라 하여 청산면에 편입되었다. 1945년 행방 이후 38선 북쪽에 위치하여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한국전쟁이 끝난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의거하여 행정권이 수복되었고, 1983년「대통령령」제11027호에 의하여 연천군에 편입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2개의 행정리, 14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명유래

  • 능안[陵內洞, 陵內, 白虎里] : 뚝박골 북쪽에 있던 마을. 1666년(현종 7)경 죽재 윤인함의 손자이며 승정원의 승지를 지낸 윤유진(尹惟晋)이 아들 7형제 중 효성이 가장 지극했던 만경(曼卿)과 순경(舜卿) 두 아들에게 여러 선영의 시묘를 명하여 이 곳으로 이주하게 하였다. 이 때를 시작으로 파평 윤씨가 집성촌을 이루게 되었다 한다. 두 형제는 두둑말에 정착하였으나 도둑떼의 등쌀에 지금의 능안으로 옮겨 살았다. 두둑말에서 언덕을 넘어 안으로 들어왔다 하여 ‘능안'이라 이름지어졌다. 하나 세월이 흐르면서 윤씨 선대의 큰 묘가 많다 하여 ‘능내동'으로 불리웠다 한다. 백호리의 유래는 전해 오지 않지만 한국전쟁 전까지도 ‘백호능안'이라는 이름이 보편적으로 쓰였다고 한다.
  • 두둑말 : 열수 서쪽 둔덕에 있던 마을. 지금은 육군 제5사단 사령부가 위치하 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출장하던 관원과 나그네들이 이용하던 원이 있던 곳이라 한다.
  • 뚝박골[杜岩洞] : 축동 서쪽에 있는 마을. 골안에 있는 ‘뚝바위'에 연유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약 350년 전에 전주 이씨가 처음 개척하여 한국전쟁 전에는 35호가 집성촌을 이루었던 곳이다.
  • 묘옥동(妙玉洞) : 개미산 북쪽에 있는 마을. ‘해주골'이라고도 하였다.
  • 신촌(新村) : 영평천 강안에 있는 마을. 한국전쟁 이후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한탄강댐이 건설된 후에 관광지로 변해 있다.
  • 축동(築?) : 육군 제5사단 사령부 정문에서 남쪽의 은판이 언덕 사이에 남북으로 축동나무 고목들이 줄지어 있던 곳. 예전에 뚝박골 마을에서 재물이 흘러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영평천이 내려다 보이는 이 곳에 나무를 심어 수구막이를 했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한국전쟁 이후 축동나무들은 모두 없어지고 지금은 백의리 마을이 들어서 있다.
  • 큰능안 : 윤인함 묘 부근에 있던 마을.

지역명칭 설명

  • 개미산[蟻山] : 박석고개 서쪽에 있는 두 개의 둥근 산. 산의 형상이 개미와 닮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예부터 이 산에 인위적인 해를 가하면 마을에 재앙이 일어난다고 해서 지금도 신성시한다고 한다.
  • 고시래골 : 승지골 옆에 있는 좁은 골짜기. 고사리가 많았다는 사실에서 유래되었다.
  • 곧장뫼 : 능안 마을 동쪽, 영평천으로 곧게 뻗은 산.
  • 골안[谷內] : 뚝박골 남쪽, 종현산까지 나 있는 큰 골짜기.
  • 괴목정(槐木亭) : 윤인함 묘 입구에 있던 느티나무 정자. 한국전쟁 직후 없어졌다.
  • 구석터 : 윗골 북쪽에 있는 구석진 골짜기. 건물지가 있어 지금도 그 터에서 와편이 출토되고 있다.
  • 깃대봉 : 능안 마을 서쪽에 있는 봉우리. 높이 160m. 일제강점기 초에 토지 세부 측량을 위한 표준기를 꽂았던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나븐돌골 : 개미산 남쪽에 있는 골짜기. 계곡 중간에 넓은 돌이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며 ‘나부자골'로도 불리운다.
  • 넓은마당 : 신야골 남쪽에 있는 넓은 평지. 한국전쟁 전까지 화전민이 살았던 곳이었으나 지금은 산림으로 우거져 있다.
  • 누에머리소 : 뒷재벌 동쪽의 영평천에 있는 소. 포천군 장수면 신흥리의 누에머리산 앞에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능안고래 : 능안 마을 우묵한 곳에 있는 고래실논.
  • 도둑터 : 뚝바위 남쪽에 있는 넓은 공터. 예전에 도둑이 많았다고 한다.
  • 뒷재너머 : 능안에서 뒷재벌로 넘어다니던 고개.
  • 뒷재벌 : 신촌 마을 부근에 있는 벌판.
  • 뚝바위[杜岩] : 사라퀴봉 동쪽 산록에 있는 바위.
  • 마당바위 : 어두니골 동쪽 골안 개울에 있는 넓은 바위.
  • 문쟁이들 : 개미산과 묘옥동 사이에 있는 들.
  • 박석고개[薄石峴] : 백의 1리와 2리 경계에 있는 고개. 약 120년 전 능안에 살았던 윤대일(尹大一)이 이 고개에 넓적한 박석을 깔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그런데 그 후부터 능안 마을에 악상(惡喪)이 잦아 돌을 모두 뜯었다고 한다.
  • 방석소나무자리 : 박석고개 북쪽 산등성이의 소나무 고목이 있던 자리. 한국전쟁 전에는 능안 마을에서 서낭나무로 받들었으나 전쟁 직후 베어 버렸다 한다.
  • 배회낭 : 백의리 마을 동쪽, 영평천에 펼쳐진 현무암 절벽. 영평천이 포천군 창수면 고소성리부터 흘러 이곳에 오는 동안 크게 돌면서 곡류한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한다.
  • 사라퀴봉 : 승지골 남쪽, 산 정상 부근에 있는 두 개의 큰 바위 봉우리.
  • 삼거리 : 박석고개 정상에 있는 세 갈래 길. 37번 국도와 322번 지방도가 만나는 곳으로 두암동*전곡*되네미로 갈라진다.
  • 삼밭골 : 요골 안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삼[麻]을 심던 밭이 있었다.
  • 새알번지 : 넓은마당 남쪽에 있는 넓은 골짜기. 골안의 막바지에 해당한다.
  • 새재고개 : 개미산에서 궁평리 의요동의 아랫말로 넘어다니던 고개.
  • 샘골[泉谷] : 도둑터 북쪽에 있는 골짜기. 골짜기 안에 샘이 있다 하여 붙은 이름으로, 두꺼비 모양의 ‘두껍바위'가 있다.
  • 선바위 : 누에머리소 남쪽, 영평천변에 서 있는 바위. 윤인함묘의 좌청룡 끝에 해당한다.
  • 성주골 : 골안 입구에 있는 골짜기. ‘승지골'이라고도 한다.
  • 수산양지락 : 도둑터 옆에 있는 집터. 골안에서 가장 양지바른 곳으로 눈이 내려 도 빨리 녹는다고 한다.
  • 신야골 : 큰어두니 동쪽에 있는 골짜기.
  • 아랫고개 : 큰능안에서 뒷재벌로 넘어다니던 고개.
  • 어두니골 : 수산양지락 남쪽에 있는 골짜기. 한국전쟁 전까지만 하여도 원시림 이 우거져 빛이 안드는 음지로 어둡고 음침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작은어두니', ‘큰어두니'로 나뉘어진다.
  • 여우박골 : 박석고개 서남쪽에 있는 조그만 골짜기. 한국전쟁 전까지도 여우가 많이 살며 새끼를 치는 굴이 있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 열수(烈水) : 두둑말 동쪽, 영평천에 있던 여울. 한탄강댐 건설로 수위가 높아진 까닭에 옛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 요골 : 요골모탱이 북쪽에 있는 골짜기.
  • 요골모탱이 : 개미산 북쪽에 있는 모퉁이. 요골 앞에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 다. 지금은 37번 국도의 포장공사로 인하여 모퉁이는 없어지고 곧고 확트인 길로 변해 있다.
  • 용수개울 : 문쟁이들에서 궁평리로 흐르는 개울.
  • 원비냥 : 배회낭 남쪽에서 포천군 창수면 주원리의 군자동까지 펼쳐진 영평천변의 벼랑.
  • 윗골 : 능안 마을 북쪽에 있는 골짜기.
  • 은판이 : 백의리 마을 남쪽에 있는 넓은 둔덕. ‘윗은판이'와 ‘아래은판이'로 나뉜다.
  • 절터 : 넓은마당에 있는 절터. 한국전쟁 전까지 밭으로 경작되던 유지(遺址)에서 소량의 와편만 보였다 하나 지금은 숲이 우거져 있어 확인이 어렵다.
  • 정골[鼎谷] : 은판이 남쪽에 있는 좁은 골짜기. 영평천으로 뻗어 있다. 예전에 솥을 주조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 칼봉재 : 뒷재너머 서쪽에 있는 바위산. 칼 형상이라 한다.
  • 형제바위 : 선바위 남쪽의 영평천에 있는 바위. 높이 250m. 어린 형제가 물놀이를 하던 중, 바위 밑에 있는 깊은 소에 동생이 빠지자 형이 구하려다가 함께 빠져 죽었다는 사연이 전해 온다.